행복주택 임대료 조회 방법

카테고리 없음|2017. 4. 3. 12:00



행복주택 임대료 조회 방법


서민들을 위한 정부정책중 행복주택은 주변에 임대시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임대료를 책정하면서 서민부담을 줄여주는 정책으로 입주를 위해서는 입주자격을 갖추어야 하는데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행복주택은 주택빈곤층에 해당하는 대학생, 신혼부부, 사회초년생, 취약계층, 노인계층을 위해 주거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정부에는 2017년까지 총 14만가구를 공급할 예정인데 공공주택이 들어서는 주변 주민들과 문제로 계획보다 낮은 공급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우선 행복주택 신청, 임대료 조회방법을 알아볼텐데 "마이홈"에서 행복주택관련 입주자모집 자금지원계획등을 공지하고 있는데 공급되어 있는 행복주택에 임대료 역시 함께 조회할수 있습니다.


마이홈 홈페이지에 접속하시면 내 상황에 맞는 주거복지 서비스를 선택할수 있는데 임대료 조회는 상단 메뉴에 "임대주택찾기"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메뉴에서 행복주택 입주자 모집공고를 클릭하시면 전국에 공급중인 행복주택 현황을 알수 있는데 대학생, 신혼부부, 저소득층등 상황에 맞게 검색하시면 됩니다.


지원대상, 거주지 행복주택을 검색하시면 주변에 있는 대상 행복주택을 클릭하시면 총세대수, 모집인원, 입주일, 입주 보증금, 임대료를 조회할수 있습니다.





서울 마포구 가좌역에 있는 행복주택을 알아봤는데 총 모집호수는 362세대로 최초입주일은 2017년 2월로 계약금은 호수별로 다르지만 547만원 ~ 1416만원까지 구분되며 임대료는 109,000원 ~ 283,000원까지 적용됐습니다.


서울전체평균 월세임대료가 50만원 전후인것을 고려하면 낮게 책정된것을 알수 있는데 주거 빈곤층에 부담을 확실히 줄일수 있을것 같습니다.

 

행복주택 임대료 조회 방법을 알아봤는데 저렴한 만큼 경쟁률이 치열해서 사전에 입주조건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 아래사항은 행복주택 임주조건입니다.





기본적으로 행복주택은 교통편이 편리한 곳에 건설되기 때문에 많은 입주자가 몰리는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LH 콜센터 1600-1004 를 통해 자세한 사항을 문의할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