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관이 하는일, 되는법
소방관이 하는일, 되는법
일상생활 속 위급한 상황에 119번을 누르면 언제나 도움을 주는 소방관은 매년 존경받는 직업 1위에 자리잡고 있는데 소방관이 하는일은 화재를 진압하고 국민의 생명을 구하는 일이외에도 화재를 예방하고 재난상황에 대비하는등 소방관 임무는 막중한 책임감이 따른다.
화재 및 재난 또는 생명이 위급한 상황에서 구조 · 구급활동이 소방관에 주로 하는 일이라고 할수 있는데 만약 급박한 상황에 119 소방관들이 없다면 생각만 해도 끔찍합니다.
다만 소방관은 국가직 공무원이 아닌 지방직 공무원으로 소방직 9급 공무원 시험을 합격하면 될수 있지만 열약한 처우, 부족한 인원으로 항상 어려움을 격는 직업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소방관이 하는일, 되는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 소방관 역사는 고려시대 50명으로 시작한 멸화군이 소방관의 원조라고 할수 있는데 1991년 광역소방행정이 시행되고 2004년에는 소방방재청이 국민안전처로 편입되었지만 지방직 소방공무원 → 국가직으로 변경되지 않아 처우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입니다.
OECD 국가들에 소방공무원은 국가에서 70%이상 인건비, 장비 부담을 하며 소방관에 대한 처우를 보장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4% 미만으로 아직까지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원합니다.
119 소방관은 화재현장에 출동 불을 끄는 화재진압대, 각종 재난사고, 교통사고 현장에 출동해 인명을 구조하는 119 구조대, 사고현장에 응급환자 구호, 환자상태를 파악하는 구급대를 중심으로 운영되며 각각 응급상황에 대처할수 있는 자격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 소방관이 하는일
1. 긴급재난 화재 진화, 구호업무, 예방활동
2. 시설물 소방안전 점검(비상구, 소화기, 소화전 비치등)
3. 형사기록에 대한 작성, 기록물 보전 업무
4. 검사에 수사관련 지원, 화재 관련 수사
5. 국가 이해와 관련 소송 사무업무, 각급 배상심의회의 운영
▼ 소방관 계급
소방직 9급공무원 시험을 합격하면 소방사 시보를 시작으로 소방사 → 소방교 → 소방장(부센터장), 소방위 → 소방경 계급을 거치는데 소방위부터는 간부 소방시험을 합격해야 되며 일반 공무원 6급에 해당하며 소방관 최고계급은 소방총감으로 소방방재청장 입니다.
▼ 소방관이 하는일, 되는법
소방관은 지원자격은 만 21세 ~ 만 40세이며 국가직은 거주지 제한이 없고 지방직은 해당지역 거주자만 응시할수 있는데 9급 소방직 공무원 시험을 합격해야 됩니다.
시험과목은 필수 3과목(국어, 영어, 한국사), 선택 2과목 (소방관계법규, 행정법총론, 소방학개론, 과학, 사회, 수학) 공무원 응시생들이 늘어나며 소방 공무원 경쟁률은 평균 19 : 1 수준으로 다른 공무원 경쟁률에 비해 낮지만 무시할수 없는 경쟁률 입니다.
또한 재난, 화재상황에서 다른사람을 구조할수 있는 강인한 신체조건이 필요한데 소방직 공무원을 준비한다면 체력 단련을 해야 근무에 무리가 없습니다.
이상으로 소방관이 하는일, 되는 방법을 알아봤는데 우리나라 공무원 중에서 가장 많이 고생하지만 처우, 대우는 낮은 직업으로 소방 영웅이라 불려도 아깝지 않은데 소방관들이 안전하게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수 있도록 국가직 전환이 시급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