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유수유 언제까지 해야할까?

카테고리 없음|2017. 12. 18. 16:00



모유수유 언제까지 해야할까?


우리나라 2017년 신생아는 35만명으로 인구절벽을 맞이하는 상황에서 부부의 사랑으로 태어난 소중한 아기에서 모든걸 해주고 싶은 부모님 마음은 똑같은데 특히 갓 태어난 신생아를 둔 엄마들은 모유수유를 하려고 노력하는데 모유에는 각종 이로운 성분이 많습니다.


 

 

 


모유수유는 엄마와 아기 유대감을 형성하고 초유 성분에는 면역력 증강, 알레르기 예방, 지능발달을 돕는걸로 알려져 있어 되도록 출산초기부터 모유수유를 권장합니다.


엄마들은 1년이상 모유를 주는 "완모"를 선호하지만 신체적 특징에 모유양 부족, 함몰유두, 직장문제로 모유를 지속하는데 한계가 있는 만큼 기간에 따라 조율하는 선택이 필요하다.





그래서 오늘은 모유수유 언제까지 해야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국제보건기구 WHO 권장으로는 2년(24개월)동안 모유수유를 해야 엄마와 아기 면역력 형성을 완성할수 있는데 기간에 따라서 이유식 + 모유를 함께 섭취하는 식으로 진행되는데 미국 소화과 학회(AAP)에서는 모유수유 기간을 1년으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3개월 ~ 6개월부터 모유수유만 하고 6개월 이후에는 이유식을 병행하는데 모유는 분유에 비해 소화가 빨라 2시간 1번 수유해야 아기가 포만감을 유지할수 있습니다.





이때 6개월 동안 모유수유 기간은 필수적인데 엄마의 면역물질은 초유 성분에 많이 들어있는데 최초 수유부터 6개월이 최고치를 찍어 아기에게 천연면역 영양제라고 할수 있다.


단, 엄마의 신체적 특징에 따라 영양가 없는 모유(물젖)이 나로는 경우 초유수유를 하고 분유를 함께 섭취하는걸 추천하는데 최근 분유는 모유와 비슷한 성분을 가진 제품이 많다.





모유수유 장점은 아기와 엄마 모두에게 이롭게 작용하는데 참고하세요.


1. 엄마와 아기의 정서적 유대감, 안정감으로 심리적 뇌성장 발달에 도움을 준다


2. 엄마의 호르몬 분비를 자극 자궁수축, 체중조절, 난소암, 유방암을 예방하는 효과


3. 태아의 구강구조, 치아 치열을 고르게 하고 뇌 신경발달에 도움을 준다


4. 모유는 천연면역물질로 폐렴, 장염등 신생아들이 취약한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


 

 


이상으로 모유수유 언제까지 해야되는지 기간을 알아봤는데 권장기간은 2년이지만 이유식 이전 6개월까지는 최소한 모유수유를 해야 아기 면역체계가 만들어지는데 도움을 줄수 있는데 모유양이 적은 엄마들은 고급분유를 함께 먹이셔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