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관계 호칭표 중요해요

카테고리 없음|2017. 7. 8. 02:00




가족관계 호칭표 중요해요


한국은 호적제를 운영하면서 다양한 가족관계를 구성하고 있는데 너무 많은 호칭때문에 친척들과 모인자리에서 실례 될수 있는데 사실 외국에서는 이름으로 간편하게 통일되지만 한국은 복잡하기 때문에 가족관계 호칭을 알고 있는게 중요합니다.


 

 

 


물론 가족구성원에서 1촌관계인 부모님, 동생, 누나, 형들은 큰 문제 없지만 결혼으로 가족구성원이 합쳐지는 경우 호칭이 정리하면 편리합니다.


사실 우리나라만큼 복잡한 호칭을 부여하는 나라는 드문데 혈족사회를 이루면서 계승된 문화가 이어지고 있는데 명절 또는 제사에 친척들이 모인자리에 필요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가족관계 호칭표를 통해 친가, 처가로 구분해 호칭을 알아보겠습니다.


가족관계 호칭을 중요한 이유는 가족간 서열 또는 나이를 나타내는 호칭은 친척들과 왕래가 많지 않으면 익숙해지기 어려운데 보통은 결혼하면서 처갓집, 시댁으로 구분되며 부부에 부모님, 형, 동생들을 부르는 호칭을 달리하고 있습니다.


 

 

 


호칭을 부를때에는 나를 기준으로 정리하면 되는데 남편, 또는 아내 기준을 놓고 주변 가족 구성원을 파악하면 되는데 차례로 알아보겠습니다.





시댁 가족구성원 호칭 정리(남편 가족)


1. 아버님, 어머님 :  남편의 부모님


2. 아주버님 : 남편의 형


3. 형님 : 남편의 형의 아내


4. 도련님 : 남편의 결혼하지 않은 남동생


5. 서방님 : 남편의 결혼한 남동생 


6. 동서 : 남편의 남동생 아내


7. 아가씨 : 남편의 여동생





처갓집 가족구성원 호칭 정리(아내 가족)


1. 장인어른, 장모님 : 아내의 부모님 호칭


2. 형님 : 아내의 오빠


3. 처남 : 아내의 남동생


4. 처형 :  아내의 언니


5. 처제 : 아내의 여동생


6. 아주머니 :  아내의 오빠의 아내


7. 처남댁 : 아내의 남동생의 부인


8. 형님 : 아내의 언니의 남편


9. 동서 또는 서방 : 아내의 여동생의 남편





결혼과 동시에 가족구성원에 대한 호칭을 자연스럽게 부르기는 어렵지만 제대로 알고 있어야 실수 하지 않을수 있는데 올케, 새언니등 변화된 형태에 호칭도 있습니다.


친족 호칭에 경우 나를 중심으로 촌수에 따라서 증조부부터 삼촌, 조카, 백부, 숙부등으로 부를수 있는데 백부, 숙부는 아버지에 형제들이고 고모는 아버지에 여자 형제입니다







어머니의 친가 가족구성원은 외증조, 외증조부, 이모, 외숙, 외삼촌으로 구성되는데 마찬가지로 어머니의 남자형제는 외삼촌, 여자형제는 이모로 부르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가족관계 호칭표를 알아봤는데 가족구성원이 많은 만큼 복잡한데 보통은 이모, 고모, 외삼촌, 삼촌등을 알고계시면 되고 결혼한 신혼부부에 경우 양가 집안에 실례되지 않도록 호칭을 정리하는데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